전체 글 109

트럼프 기후위기 대비? 그린란드에 배팅하는 이유

재집권한 트럼프는 "기후위기는 사기"라 외치며 취임 날 보란 듯이 파리 기후협정에서 탈퇴했습니다. 이에 따라 화석 연료가 부활하고 기후 산업 투자가 축소되는 등 국제사회 기후대응도 퇴행할 거라는 뉴스들도 쏟아져나오고 있는데요, 트럼프의 거센 언행과 행동에도 불구하고 그의 뜻대로 되지 않을 거라는 의견도 나오고 있는 모습도 볼 수 있었습니다.    미국 IRA(인플레이션 감축법)는 약 500조 재정을 청정 에너지에 투자했고, 전기차 같은 재생에너지 설비와 기술 투자비에 세액을 공제해주는 바이든 정부의 대표적 친환경 정책입니다. 트럼프는 대선 과정에서 이 IRA를 폐지하겠다는 선언을 했지만 그가 속한 공화당에서 청정 세액 공제를 유지하라고 강력하게 주장했다고 합니다.  사실상 기후위기를 전제로 한 트럼프의 ..

미국 대형주 인공지능(AI) 관련주 팔란티어 주식 주가 알아보기

팔란티어(Palantir Technologies)는 데이터 분석 및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로 주로 대규모 데이터 분석을 하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하는 회사입니다. 주로 정부 기관, 정보 기관, 군대 등에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했으며 대규모 데이터세트에서 중요한 인사이트를 추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가장 유명한 제품은 팔란티어 파운드리와 팔란티어 고담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팔란티어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정기적으로 재무보고서를 제출하는 것을 바탕으로 2023년 기준 주요 재무지표(일부)를 간략하게 요약해보았습니다. 1. 수익 (Revenue)2023년 2분기: 팔란티어는 4억 5,000만 달러 이상의 수익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약 12% 증가한 수치입니다.팔란..

경제/주식 2025.02.03

2025 을사년 새롭게 달라지는 국민 연금 제도 4가지 알아보기

2025년 을사년을 맞이하여 국민연금도 새롭게 변화한다고 하는데요. 올해부터 바뀌는 국민 연금 제도 4가지를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국민 연금 2.3% 인상*(국민연금 급여액) 기본 연금액 및 부양가족연금액올해 1월에도 전년도 물가변동률을 반영하여 국민연금 급여액이 2.3% 인상됩니다. 예를들면 노령연금을 받고 있는 김00씨가 있다고 가정해봅시다. 연금액이 507,130원(최초 연금월액/2006년 6월)이라고 했을 때 2025년 1월에 받는 연금은 최초 연금월액 대비 294,570원(58.09%)이 증가한 801,700원을 수령할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국민연금은 매년 물가변동률을 반영하여 연금의 실질적인 가치를 보장한다고 하네요.  2. 두루누리 지원 기준 변경두루누리 지원 기준이 변경됐..

딥시크(Deepseek) 창업자 보안 문제 데이터베이스 개인정보 노출 주의

딥시크(Deepseek)는 중국 광둥성 출신인 1985년생 '량원펑'이라는 분이 창립한 중국의 인공지능(AI) 신생기업(중국 스타트업/2023년 5월 창립)으로 적은 개발 비용을 들여 선보인 AI 모델입니다. 전세계 최첨단 AI칩시장을 장악한 미국의 'AI 공룡'인 엔비디아가 하루 역사상 최대 손실인 시가총액 847조원이 증발할만큼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딥시크가 등장한 이후 뉴욕증시를 흔들어 놓을 정도로 '딥시크 쇼크'라는 말이 붙고, "AI의 스푸트니트 모먼트가 왔다"라는 반응까지 나온다고 합니다. 여기서 스푸트니크 모먼트 라는 것은 1957년 냉전 시대 당시 소련(러시아)이 미국에 앞서 인류 최초로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를 발사했을 때 미국인들이 받은 충격에서 유래된 것으로 특정 분야에서 후..

레인보우로보틱스 주가 상승 로봇 관련주 주식알아보기

곧 다가올 휴머노이드 시대를 준비하며 로봇 관련주들이 많이 떠오르고 있는데요. 그 중에서도 코스닥에 상장되어 있는 '레인보우로보틱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레인보우로보틱스 투자 정보 시가총액5조 8,103억원시가총액순위코스닥 5위상장주식수19,399,858액면가/매매단위500원/1주외국인 한도 주식수(A)19,399,858외국인 보유 주식수(B)1,353,275외국인 소진율(B/A)6.98%목표주가164,00052주 최고가/최저가301,000/109,100PER/EPS(2024.09)N/A/-1,055추청PER/EPS12479.17배/24원PBR/BPS (2024.09)44.86배/6,676원배당수익률N/A동일 업종 PER36.16배  재무정보 2024.09분기 기준 동일 업종인 두산에너빌리..

경제/주식 2025.01.31

스타벅스 급등한 이유 실적 발표 주요 내용 알아보기

최근 신세계에서 지분을 늘려서 화제가 됐었던 스타벅스는 한국뿐만 아니라 전세계 각국에서 수만여 명의 직원들이 근무할 정도로 세계 최고의 커피 전문 회사로 많이 알려져 있는데요. 정말 모르는 사람을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유명한 커피숍입니다. 먼저 스타벅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타벅스 기업명스타벅스 코퍼레이션설립일1971년 3월 31일(53주년)창업자제리 볼드원, 고든 보커, 지브 시글국가미국상장 거래소나스닥(1992년 7월 2일~ / SBUX)시가총액1,054억 달러(2024년 3월)부채374억 3,330만 달러(2023년 연결)자본-79억 8,780만 달러(2023년 연결)매출359억 7,560만 달러(2023년 연결)영업이익58억 7,080만 달러(2023년 연결) 지난 29일(현지시간) 오후..

주식 초보 주린이 용어 단어 72의 법칙 뜻 알아보기

주식을 하시는 분들이나 주식 초보이신 주린이분들께서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72의 법칙에 대해 배워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72의 법칙 뜻 72를 연간 복리수익률로 나누면 원금이 두 배가 되는 기간과 같아진다는 법칙으로 즉, 투자 자금의 배가 시간을 측정해주는 방식으로서 70의 법칙 또는 69.3의 법칙으로도 불립니다. 경제성장이나 인구 및 저축의 증가 등을 계산할 때 복리의 효과를 이해하는 데 주로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현재 100만원을 연간 복리수익률(혹은 이자율) 3%로 투자해 놓았다고 하면 100만원이 200만원이 되는 데 걸리는 기간은 24년(=72/3)이 됩니다. 반대로 이 공식은 현재의 원금을 일정한 기한 이내에 두 배로 불리기 위해서 필요한 수익률을 계산하는 데에도 이용..

경제/주식 2025.01.29

중국의 인공지능(AI) 업체 딥시크(deepseek) 알아보기

중국의 인공지능(AI) 업체인 딥시크(deepseek)가 혁신적인 챗봇을 개발했다는 소식으로 인해 미국 기술기업 주가가 고평가됐다는 우려가 급부상, 미국이 지수 선물이 일제히 급락하게 되면서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도 일제히 폭락한 이슈가 있습니다.  딥시크(deepseek)는 스타트업인데도 불구하고 업계 다크호스로 주목받고 있다고 하는데요. 현재 많은분들이 사용하고 계신 챗GPT보다 저렴한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사용하고 이 그래픽처리장치를 통해 대형언어모델(LLM) 훈련을 마쳤다고 하고, 여러 테스트에서 오픈AI의 최신 모델인 o1이나 메타 플랫폼의 라마 3 모델 성능을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챗GPT보다 앞서는 결과지만 제조 비용이 훨씬 저렴하기 때문에 현재 주가에 많은 타격을 주는 것..

주식 용어 주린이 단어 레버리지 효과 뜻 알아보기

주식을 하다보면 레버리지 효과라는 용어를 볼 수 있습니다. 먼저 레버리지 단어 정의부터 살펴보겠습니다. 레버리지란?레버리지(leverage)는 타인의 자본을 지렛대처럼 이용하여 자기 자본의 이익률을 높이는 것이다. 고정비용이 있을 때 매출액의 변화가 기업의 손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에 쓰인다. 이는 고정영업비용과 고정재무비용의 부담정도에 따라 기업에게 귀속되는 최종적인 주당이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할 수 있게 한다는 뜻이다. 레버리지도 세가지의 종류로 나뉩니다. 영업레버리지영업 레버리지는 기업이 영업활동시 발생하는 영업 비용을 고정비와 변동비로 분류했을 때, 영업비용 내의 고정비 부담 정도를 의미합니다. 생산이나 판매 등에 소요 되는 비용인 영업비용 중 고정비의 비중이 클 수록 영업레버리지..

경제/주식 2025.01.26

실업급여 사상 최대 12조 돌파 부정수급까지 이대로 괜찮을까? 신청 조건 알아보기

지난해 실업급여 지급액이 12조원을 돌파해 코로나19 이후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부정수급은 사상 최대치를 찍었고 실업급여 지급액은 12조 2847억 70000만원으로 잠정 집계되었습니다. 이렇게 최대치를 찍은 이유를 찾아보니, 건설업발 경기침체에 부정수급 등 여러 이유들이 모여 겹악재가 발생되었다고 합니다. 이는 전년도인 2023년 11조 7922억원보다 4925억원이나 늘어난 수치로써, 역대 수급자가 가장 많았던 2021년에서 갱신한 수치라고 합니다.   실업급여 하한액 인상에 부정수급도 증가한 게 한 몫 할텐데요. 실업급여 제도의 구조적 문제도 지급액 증가의 원인으로 꼽힙니다. 현행 고용보험법상 실업급여 하한액은 최저임금의 80%로 연동되어 있는데 최저임금이 오르면서 하한액이 오르고 있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