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티메프사태나 홈플러스 등 부도(기업회생)가 나게 되면서 문을 닫는 상황이 생겼는데요. 이처럼 점점 나라가 힘들어지는게 보일 정도로 경제가 많이 침체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국내 기업 97%가 올해 우리나라에 경제위기가 올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홈플러스도 기업회생을 하기 위해서는 여러 절차가 필요한데 최소 150~200일 정도 여서 아무리 빨라도 3개월이 걸린다고 하네요.
1. IMF 뜻과 주요 목표
IMF는 국제통화기금(International Monetary Fund)의 약자로, 국제 금융 체계를 감독하고 회원국의 경제 안정성을 지원하는 국제 기구로, 본부는 미국 워싱턴 D.C.에 위치하고 있으며, 1944년 브레튼우즈 협정에 따라 1945년에 설립되었습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IMF는 국제 금융 안정을 위한 중요한 기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IMF의 주요 목표는 국제 통화 협력과 환율 안정을 도모하고, 경제 성장과 고용 증대를 촉진하며, 회원국의 재정 상황을 안정시키는 것입니다.
경제위기가 오는 주요 원인들을 찾아보니 다음과 같이 6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2. 경제위기가 오는 주요 원인
1) 외환 부족
수출보다 수입이 많아지면서 무역적자가 발생하고 달러가 부족해질 수 있습니다. 쉽게 말해 달러를 많이 벌어오지 못해서 생긴 위기라는 뜻입니다. 한국에 투자하던 투자자들도 떠나면서 본인의 나랏돈(달러)로 바꿔 떠나게 되는데, 다들 가지고 있던 원화를 팔고 달러를 사들이게 됩니다. 이 현상으로 달러값이 오르고 원화값이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 기업의 과도한 부채
기업들이 과도하게 빚을 내어 투자하다가 상환에 어려움을 겪으면 해외 투자자들의 신뢰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3) 국제 경제 환경 악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같은 국제적 사건으로 인한 공급망 불안, 원자재 가격 상승, 인플레이션 등이 경제위기를 촉발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자연스럽게 한국은 주요 원자재 수급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기에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충격을 고스란히 떠안게 됩니다.
4) 금융시장 불안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인한 달러 강세, 주가 하락, 원화 가치 하락 등이 경제 불안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영화 국가부도의 날을 보면 25년 전 한국에 들이닥쳤던 경제 위기에 대한 기록을 담은 내용인데, 결국 한국은 많은 기업들이 흑자도산했고, 헐값으로 외국 자본에 팔렸으며, 강력한 구조조정에 실업자가 양산되는 등 정말 힘든 시기를 보냈음을 알 수 있습니다.
5) 해외 의존도
지난달 30일 환율은 1,430.2원에, 코스피는 종가 기준 연저점인 2,155.49에 거래를 마쳤는데 이 지표를 보면 악화된 배경에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심화가 자리 잡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주요 원자재 수급을 해외에 의존하는 경제 구조로 인해 국제 원자재 가격 변동에 취약할 수 있습니다.
6) 국내 경제 구조적 문제
고금리, 고물가, 고환율의 '3고' 현상과 무역수지 적자가 지속되면 경제위기의 징후가 될 수 있습니다. 무역수지는 일정 기간동안에 상품의 수출입 거래로 생기는 국제 수지, 무역 외 수지와 함께 국제 수지의 경상 계정을 구성한다는 뜻입니다. 쉽게 말해 무역으로 생기는 국제수지를 뜻합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경제위기가 발생할 수 있으며, 과거 1997년 외환위기와 같은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위험 요인들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대비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경제 > 국내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부터 서울사랑상품권 저렴하게 살 수 있다고? 이건 꼭 기억하세요 (21) | 2025.03.12 |
---|---|
2025년 최저 시급 작년과 얼마나 차이날까? 최저시급 인상으로 미치는 영향 (5) | 2025.03.11 |
'김치 프리미엄' 현상 끝? 금 시세 15배 하락이유 (18) | 2025.03.06 |
주식 거래 시간 '8 to 8'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 개장 (21) | 2025.03.04 |
‘공매도 전면 재개‘ 국장 투자자라면 꼭 알아야 할 것 (13) | 2025.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