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인공지능 AI 딥리서치(deep research) 출시 딥시크 3배 정확도?
미국의 인공지능(AI) 기업 오픈 AI가 생성형 AI 서비스인 챗GPT의 새로운 툴로 '딥 리서치(Deep research)'를 출시했습니다. 딥 리서치는 사용자를 대신해 독립적으로 일할 수 있는 오픈AI의 차세대 에이전트라고 소개된 바 있는데요. 딥 리서치는 인터넷에서 여러 단계의 복잡한 조사를 수행할 수 있는 툴로 데이터 분석과 웹 브라우징에 최적화된 오픈AI의 추론모델인 'o3'으로 구동됩니다.
기존 모델들은 단기적인 사고 과정을 통해 답변을 생성하지만, 딥 리서치는 다단계 웹 검색을 수행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특히 이 모델은 단순히 정보를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발견한 자료를 바탕으로 논리적 결론을 도출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 특성을 통해 딥 리서치는 전문가 수준의 리포트를 생성할 수 있다고 합니다.
제일 큰 차이점은 딥 리서치가 시간 제약 없이 깊이 있는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인데요. 일반적인 AI 모델은 몇 초 내로 답변을 제공하지만, 딥 리서치는 최소 5분에서 최대 30분까지 소요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복잡한 문제 해결을 위해 AI가 자율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발전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딥 리서치의 기술적 특징은 4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 고도화된 검색 및 분석 능력
- 다단계 검색과 실시간 조정
- 신뢰할 수 있는 출처 제공
- AI의 자율적 학습과 최적화
최근 이슈였던 중국의 AI 딥시크보다 3배 높은 정확도를 갖췄다고 강조를 했는데요. 오픈 AI에 따르면 100개 이상의 광범위한 주제에 걸쳐 3천개 이상의 객관식과 단답식 답을 구하는 AI 테스트에서 딥시크-R1의 정확도가 9.4%, 딥 리서치의 정확도는 26.6%에 달한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오픈AI는 "딥 리서치를 구동하는 모델은 필요할 때 전문화된 정보를 효과적으로 찾아냄으로써 인간과 유사한 접근 방식을 보여줬다"고 자평했지만, 딥 리서치가 완전히 개발되지 않은 초기 단계로 아직 한계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앞으로 오픈AI 딥 리서치가 지식 기반 사회에 어떤 혁신을 가져올지 기대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